커뮤니티 Q&A 상세 페이지
[와린이탈출기] #1. 와인잔의 구조
안녕하세요 달리 커뮤니티 여러분! 라위달 3기 논빈입니다
소주와 맥주만 마시던 제가 슬슬 와인과 위스키에 눈을 떴는데요
알고 마시면 더 즐거운 술이 와인과 위스키더라고요
아직 와린이 대학생이라 많이 부족하지만, 서로 피드백해가며 공부해요🙌

🧐와인잔의 구조💭
와인잔은 와인의 향과 맛을 최대한 살리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그 상세한 부분을 알아봅시다🤔

1️⃣림 Rim/ 립 Rip 💋
입술이 닿는 곳.
와인잔의 림은 와인 시음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림은 일반적으로 얇고 매끄러운 형태를 가지며, 와인을 마실 때 입과의 접촉을 부드럽고 쾌적하게 해줍니다.
얇고 매끄러운 림은 입안에 부드럽게 닿는 느낌을 주어 향과 맛을 더욱 즐길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반면, 두껍운 림은 저렴한 와인잔이란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깔끔하게 커팅되지 않은 림은 미세한 기포를 일으켜 입안에 균일하게 퍼지지 않고 향과 맛을 방해합니다.
2️⃣보울 Bowl 🍇
와인잔의 몸통. 와인이 담기는 곳이자 건배하는 곳.

와인잔의 보울은 와인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디자인됩니다. 일반적으로 아래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로제작되며, 이는 와인의 향을 모아주어 더욱 향을 강조하고 오래 보존하도록 도와줍니다.
이러한 구조는 와인을 잔을 돌리는 행위인 스월링(swirling)을 원활하게 하고 와인의 향기를 더욱 즐길 수 있게 합니다.
보울의 크기에 따라 와인과 공기의 접촉 면적이 달라지며, 이는 와인의 향과 풍미를 조절하는 역할해요.
큰 보울은 와인과 공기의 접촉 면적을 늘려주어 와인의 향과 맛을 최대한 살릴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작은 보울은 와인의 아로마를 집중시켜주고, 특정 와인의 특성을 더욱 부각시킬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또, 보울은 건배를 하는 부분입니다. 흔히 립에서 건배하곤 하는데, 립 부분은 상당히 얇아서 깨지기 쉬워요. 심지어 어떤 잔은립이 베일 정도로 얇아 치아의 힘에 깨지기도 합니다. 따라서 보울에서 건배를 해야 맑은 소리를 내기에 적합하고 깨질 위험이적습니다.
마지막으로, 와인잔의 보울에 와인을 따를 때는 일반적으로 보울의 30% 정도를 와인으로 채우고, 나머지 70%는 향기를 머금고 있게 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이렇게 하면 와인의 향과 맛을 균형 있게 즐길 수 있습니다.
3️⃣스템 Stem 🌱
와인잔의 손잡이. 줄기이자 기둥.
스템은 와인의 온도가 손의 열로 인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설계되어, 와인의 맛과 향을 최대한으로 느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손의 열이 와인잔에 직접 전달되지 않아 와인의 온도를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보울을 직접적으로 잡지 않아 지문이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와인잔의 외부 표면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어 와인을 더욱 깨끗하게 즐길 수 있습니다.
스템의 길이와 두께는 브랜드나 제조사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가늘고 세련된 형태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4️⃣베이스 Base/Foot 👣
와인잔의 받침.
베이스는 와인잔의 아래 부분을 의미하며, 넓고 안정적인 구조로 디자인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와인잔이 안정적으로 서 있을 수있도록 도와줍니다.
와인 서비스 시에는 예의상으로 손을 얹어두기도 하는 부분입니다. 소믈리에에게 와인을 서빙받을 때 와인잔의 베이스를 잡아와인잔이 흔들리거나 비뚤어지지 않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언제 끝날지 모르는 시리즈지만..😅 2탄에서 봐요!